🔨

기술스택&JD (Click)

Description

프론트엔드 (Frontend)

언어: TypeScript, JavaScript
: React, Next.js 13 (App Router)
: React Native (WebView)
상태 관리: Recoil
API 연동: Orval을 사용해 OpenAPI(Swagger) 기반 클라이언트 코드 자동 생성

백엔드 (Backend)

언어: TypeScript, JavaScript
프레임워크: Node.js, Nest.js
데이터베이스: PostgreSQL (AWS RDS)
ORM: TypeORM
API: RESTful API (Swagger를 통한 문서화)
AI: GPT 모델을 활용한 AI 챗봇 기능

인프라 및 DevOps (Infrastructure & DevOps)

클라우드: AWS
주요 서비스: Elastic Beanstalk, EC2, S3, RDS, Route 53
CI/CD: GitHub Actions를 통한 배포 자동화

개발 및 협업 도구 (Tools & Analytics)

모니터링: Sentry
데이터 분석: GTM, Mixpanel, Clarity, Google Analytics
푸시 알림: 3rd party
두윗의 경우, Vercel, Supabase를 활용하고 있습니다.

Description

엔지니어링에 더해, 비즈니스 로직을 만들고 고객을 만족시키는 제로투원 과정을 함께할 수 있는 분을 찾습니다.

엔지니어링은 그 자체로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. 린하게, 유저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것에 집중할 예정입니다.
유저가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만큼 슬픈 일도 없는 것 같습니다. 지표를 달성하여 보람을 느끼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무엇을 왜 개발해야 하는지, 어떤 기술을 활용할 것인지, 어떻게 볼륨을 줄일 수 있을지 등에 대해 컨센서스를 이루는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.
투입되는 프로젝트는 개발이 되어있는 ‘널스빌리지’를 메인으로 생각해주시면 되며, 팀의 상황이나 개인의 선호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습니다. 구성원의 기술 백그라운드나 경험치에 따라 역할을 분담할 계획입니다.
‘널스빌리지’ 운영을 지속하면서, 방향성이나 주요 지표에 따라 관련 B2B SaaS 프로젝트에 착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프로젝트를 파악한 후 FE, BE, 인프라 등을 전반적으로 다뤄야 합니다. 코드베이스가 잘 관리되고 있어, 적응하시는 데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합니다. 유저 니즈에 따라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기능 추가가 필요합니다.
당면한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도구를 선택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.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적용하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분이라면 대환영입니다.